전체보기/굉격기 H-6K5 #47 아프간의 SU-24 펜서, 1대도 격추되지 않았다. - 5부 (H-6K 굉격기 시리즈, 최종 편) *펜서는 아니다. 걸프 전 때 영국의 공격기 토네이도. 먹성이 특별나 보이는데, 그래서 기체 이름은 미그 잇터(미그기 먹는 놈). 출처: blogspot.com 걸프전이 터졌을 때다. 그때 전 세계 사람들은 바그다드 밤하늘로 올라가는 대공포의 궤적과 함께, 또 하나, 놀라운 화면을 TV로 접한다. *출처: cnn.com 영국 파일럿들의 몰골이다. 이젝션시트로 탈출할 때의 부상인지, 잡힐 때 얻어맞아 그런지, 눈이 퉁퉁 붓고 피 멍든 얼굴의 파일럿들이 보였기 때문. *출처: chroniclelive.co.uk 당대 최고의 저공 공격기, 토네이도 IDV형 기체의 파일럿들이었다. 영국은 이때 모두 6대를 잃는다. 그 외에 이태리 공군도 1대를 잃게 되나, 어찌 됐건 영국으.. 2017. 2. 27. #46 가상전투(假想戰鬪), 임진강 폭격! - 4부 화창한 봄날이다. 한반도 아래쪽 경남의 어느 비행장. 정비요원들, 활주로 옆에 앉아 담소를 나누고 있다. “저거 사 올 때 무지 시끄러웠지?” 그곳에 긴 날개를 자랑하며 H-6K가 있다. 한국 공군에서 가장 큰 C-130 허큘리스 수송기와 비견되는 대형 기체. *수송기 중의 베스트셀러, 허큘리스(헤라클레스). 날개가 약간 길지만, 동체 길이는 H-6K보다 짧다. 출처: worldwide-military.com “미국이 대놓고 반대한 것도 반대지만, 우리 파일럿들도 찜찜해했어.” 처음엔 그랬다. 듣도 보도 못 한 중국제 폭격기니까. 그런데 지금은 아니다. 점점 평이 좋아진다. 조종이 스무스한 데다, 탑재량이 엄청나다. 또 의외로 연료 소모가 적다는 것. 대구 기지의 F-4E 팬텀과 비슷하다고 할까? 2배 .. 2017. 2. 17. #45 파천황(破天荒)! 한국 공군이 중국 H-6K를 도입하면? - 3부 ("#43 한국 하늘에 나타난 중국 폭격기 10대", "H-6의 정체, #44 중국의 H-6, 어떤 폭격기인가?"에 이어.) 미 공군에는 ‘세계 최장수 현역’이란 타이틀을 가진 군용기가 있다. 가장 오래 일선에서 사용된 군용기. 지금도 사용 중이다. 이 거대한 제트 폭격기는 무려 60년 동안 운용하며, 전쟁 때마다 내 보낸 기체. 1955년부터 취역했으니, 60년 이상을 사용했다. 물론 그 사이 엔진을 갈아 끼워, 면목을 일신하기도 했으나, 기체의 외형은 50년대 그대로다. 그래서 파생 종도 드물다. 이 타이틀의 주인공은 B-52 폭격기다. 미 폭격기의 명문 보잉(Boeing)사의 B-52(Strato Fortress: 성층권의 요새). *출처: ytimg.com 고공의 슈퍼 요새 예전엔 포트리스 앞에 .. 2017. 2. 10. #44 중국의 H-6, 어떤 폭격기인가? - 2부 ('#43 한국 하늘에 나타난 중국 폭격기 10대, H-6의 정체'에 이어.) 얼마 전 언론을 달군 기사다. “중국 폭격기 등 군용기 10여 대가, 9일 제주 남방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기습 침범!” *바다 위를 날고 있는 H-6K 출처: cdn-images-1.medium.com “확장된 KADIZ가 발효된 후 3년 만에, 4~5시간가량 수차례 침범.” “정부와 군 당국은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에 반발하는, 일련의 행동과 관련 있는지 촉각을 세우고 있다.” 중국에서 굉격기라 하는 이 커다란 폭격기들.그것들이 떼를 지어 바다를 건너왔다.우리에게 일종의 프레젠시를 하고자 함이다. '프레젠시?' 미국이 강력한 항모세력을 유지하는 이유에는 다음 두 가지가 있다.하나는 함재기들에 의한 직접.. 2017. 1. 26. #43 한국 하늘에 나타난 중국 폭격기 10대, H-6의 정체 - 1부 이것은 신을 위한 전쟁 아프간 전.미군의 작전명 아나콘다로 시작된...그러나 지금의 전투가 아니다.7~80년대의 아프간 전.소련의 전투다. *출처: wikipedia 클레믈린의 늙은 냉전 주의자들에 의해,아프간에서 벌어진 소련과 탈레반과의 싸움. 그들은 아프간에다 소련의 최정예 부대를 보냈다.그래서 쉬울 줄 알았는데, 전혀 그렇지가 않았다. 처음엔 그럴듯했으나, 가면 갈수록 미군이 베트남에서 겪었던 것과 똑같은 처지로 빠져 들었다.세상 어디에도 없는 낯선 환경, 세상 어디에도 없는 이상한 적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적의 중심은 탈레반, 그리고 무자히딘.이슬람 신학생이라는 의미의 탈레반들,세상에, 신앙을 위한 싸움처럼 헌신적인데다, 블라인드 훼이스(맹신)가 있을까? *출처: wikipedia 그들에게 이.. 2017. 1.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