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세계 각국의 전차 명명법 (3부) - 독일의 맹수들
제2차 대전 때의 독일은 1, 2, 3, 4호 전차까지 그냥 번호로만 일관하다가, 5호부터 이름을 붙인다. 주로 맹수 이름이다. 5호 전차, 표범 판테르. 그리고 6호는 그 유명한 호랑이 티게르, 타이거다. 두꺼운 장갑과 당시에는 비교가 안 되는 강력한 88밀리 고사포의 중(重) 전차. 이후, 타이거의 최대 장갑 100밀리를 180밀리로, 전체 중량을 57톤에서 68톤으로 늘린 6호 전차 바리에이션 B형이 나온다. 쾌니히 티게르(킹 타이거)다. 그럼 이제 순서대로 하면 7호가 나와야 한다. 그런데 독일 기갑부대에 7호 전차는 없다. 패색이 짙어지는 때라 자원도 부족했지만, 시간도 없었기 때문. 만약 전쟁이 몇 년 더 지속돼, 7호 전차가 나왔다면 이름이 어떻게 붙었을까? 대다수의 중론이 뢰벤이다. 사자 ..
2017. 10. 24.
#57 한반도의 기갑전과 스웨덴 탱크 XX-20 - 3부
도쿄의 아침 일본의 전차 전문가들이 하는 이야기가 있다. “일본은 산이 많아, 전차 기동이 힘들다.” 그런데 도쿄의 어느 아침, 고층 건물 호텔 방에서 한 번 일어나 봐라. 커튼을 열어젖히면, 도대체 산이 없다. 사방팔방이 밋밋한 평지이고 그 위의 건물뿐이다. 가까운 산도 언덕도, 먼 산도 없다. *산이 어디 갔나? 남산, 북악산, 인왕산, 아차산, 도봉산, 북한산, 수락산 등등... 출처: ytimg.com 이런 나라가 전차 기동 운운한다면, 누구 앞에서 정말 문자 쓰는 거다. 대한민국에서 먼 산 안 보이는 데가 있나? 가까운 산, 먼 산, 다 보인다. 그래서 먼 산이라는 건 묘한 울림을 주는 우리만의 단어이기도 하다. 필자가 사는 서울 인접 경기도 아파트에서도 창밖을 보면 개천이 보이고, 산이 보이고..
2017. 9. 5.